학교사회복지 썸네일형 리스트형 학교사회복지 관련법 학교사회복지 관련법 이해 학교사회복지의 실천근거가 되는 법 - 헌법 - 교육 관련법 - 아동청소년 관련법 학교사회복지사의 배치근거가 되는 법 - 일부 지방자치단체(성남시, 용인시) 조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실시근거가 되는 법 - 교육부 훈령 '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관리 · 운영에 관한 규정' - 초 · 중등교육법 제28조(학습부진아 등에 대한 교육) - 초 · 중등교육법 시행령 제54조(학습부진아 등에 대한 교육 및 시행) 교육 관련 법률 헌법 - 제10조 : 인간의 존엄 및 행복추구권 - 제11조 : 평등권 - 제31조 : 교육을 받을 권리 - 제34조 :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교육기본법 - 제1장 : 총칙 - 제2장 : 교육당사자 - 제3장 : 교육의 진흥 초 · 중등교육법 - 제1장 : 총칙 -.. 더보기 학교 교육과정과 재정 학교 교육과정 개념 - 학교 교육에서 학생들에게 어떠한 교육 목표를 어떠한 교육내용과 방법, 평가를 통해 성취시킬 것인가를 정해 놓은 기준 성격 - 공통성과 다양성 동시에 추구 - 자율성과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학생 중심 - 학교, 교육청, 지역사회, 교원, 학생, 학부모가 함께 실현 - 학교 교육 체계를 교육과정 중심으로 구현 - 학교 교육의 질적 수준을 관리하고 개선 2015 개정 교육과정 비전 -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 - 학습 경험의 질 개선을 통한 행복한 학습 구현 기본방향 - 인문, 사회, 과학기술에 대한 기초 소양 교육 강화 - 학생의 꿈과 끼를 키울 수 있는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 -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 함양이 가능한 교육과정 마련 - 학습량을 적정화함 - .. 더보기 학생 인권 인권의 정의 - 인간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사람이 본질적으로 가질 수 있는 당연한 권리 - 존엄성과 인격을 존중받아야 하며 불가침의 권리 - 인간의 존엄성에 필수불가결한 권리 학생 인권의 의의 초 · 중등교육법 - 제18조의 4(학생의 인권보장) - 학교의 설립자, 경영자와 학교의 장은 '헌법'과 국제인권조약에 명시된 학생의 인권을 보장하여야 함 전제 - 학생이라는 특정한 신분을 갖는 사람들의 권리 - 학생은 본질적으로 한 인간이며 동시에 한 사회의 구성원 구성 - 자유권, 복지권, 평등권 - 보편적 인간존재로서 학생들이 마땅히 누려야 할 기본적 권리 - 학생들이 학교라는 공간에서 향유할 수 있음 윤리적 측면 - 학생도 권리의 주체로서 신분, 지위, 능력의 고하에 상관없이 인간으로서 동등하고 정당한 대우.. 더보기 학생의 발달 특성 학생 관련 용어의 개념 - 아동과 청소년의 연령 구분이 각 법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임 - 우리나라 학령기는 초등학교 1학년 ~ 고등학교 3학년 - 만 7세에서 만 18세는 아동 · 청소년기에 해당 아동 - 유아기와 청소년기 중간에 있는 6~12세 정도의 어린이 - 태어나서 신체적, 정신적 성숙이 마무리되기 이전의 발달단계 - 보호와 교육의 대상이 되는 사람 청소년 - 아동기와 다른 사회 · 정서적 변화와 갈등을 겪는 질풍노도의 심리 · 정서적 혼란 과정 - 정체성 혼란의 시기 - 사춘기를 겪음 : 청소년기의 생리적 전이과정, 특히 생식기능의 발달시기 - 사춘기의 대표적 특징은 2차 성징의 출현과 발달 - 아동기와 성인기 사이에 있는 시기 - 청소년기본법 : 만 9~24세 미만 - 청소년보호법 : 만 19.. 더보기 한국 학교사회복지의 역사와 현황 한국의 학교사회복지 시기 구분 개관 여명기(1992년 이전) - 비공식적 실천수행과 연구를 중심으로 진행 태동기(1993~1996년) - 은평종합사회복지관과 윤철수에 의해 실시 도입기(1997~2001년) - 서울시교육청 시범사업과 삼성복지재단 후원사업 성장기(2002~2008년) - 사회복지공동모금회 -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- 지방자치단체사업(과천시) - 위스타트 확립기(2009~2018년) - 성남시에서 법안이 최초로 제정됨 재도약기(2919년 이후) - 법제화로 안정적인 사업 추진 한국의 학교사회복지 역사와 현황 여명기 및 태동기 - 민간기관이 운영했던 서울시 마포사회복지관에서 처음으로 실시 도입기 - 교육부가 시범사업 실시 - 인력을 활용할 수 없을 정도의 적은 예산 - 사회복지사들이 주.. 더보기 학교사회복지 개념과 목적 학교사회복지 필요성 학교의 개념 - 학생들의 일과 중 대부분을 보내는 장소 - 가장 중요한 시기 학교의 기능 - 지적능력 향상 - 심리 · 사회적 기능 향상 -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 역할 수행 학교사회복지제도 - 서구 선진국들 : 학생들의 복지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입 - 세계 50~60여 개국 : 교육복지, 교육사회사업 등의 이름으로 실시 - 우리나라 : 최근 다양한 형태로 실시 학교사회복지는 왜 필요한가? - 헌법에서 명시하는 교육의 권리와 의무를 보장하기 위함 - 학교는 학생에게 가장 중요한 생태학적 체계 중 하나임 학생 개인적 차원 - 많은 문제들을 겪고 있으며 이는 학교생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- 공경적 · 분열적 · 표출적 행동으로 표현되는 외현화된 행동 : 학급 내 문제행동, .. 더보기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