가정에서의 가족생활교육
가정교육으로서 가족생활교육의 의의
가족생활교육의 근간
- 가정교육은 자연적, 무 의도적, 지속적으로 이뤄지는 교육
- 가정의 최초의 교육환경
- 가정교육은 부성과 모성의 상보적 관계에 의해 이뤄짐
- 가정교육은 인간성의 기초를 형성하는 장
- 가정교육의 내용은 실제 생활에 필요한 것으로 이뤄짐
- 가정교육은 교육의 가장 원초적 형태
가족생활교육의 실태와 요구
- 가정에서의 가족생활교육은 비형식적
- 가족생활교육 방법에 대해 자세히 모름
- 맞벌이 부모들의 자녀에 대한 가족생활교육의 문제
- 입시 위주의 교육정책
- 왜곡된 자녀 양육관
가족생활교육과 인성 교육
- 밥상머리 교육 : 전통적으로 가정에서의 자녀교육의 본질을 잘 나타냄
- 부모와 성인이 자녀와 함께 식사하는 시간을 곧 가족생활교육의 기회와 장면으로 활용
- 식사 시 나누는 대화는 그 자체가 상대를 이해하고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인식하는 공동체 교육이자 소통의 교육으로서 가족생활교육의 목적과 부합되어야 함
학교에서의 가족생활교육
학교 교육으로서 가족생활교육의 의의
제도 교육으로서 중요성
- 학교 교육은 교육의 적시성을 구현함
- 대한민국 국민이면 누구나 학습할 의무를 갖는 국가 교육과정이라는 강력한 총체적 계획에 의해 이뤄짐
- 가정(실과)이라는 교육과정 편제와 교과 지식의 체계하에 가족생활교육을 수행하여 온 역사성을 갖고 있음
가족생활교육과 교과 교육
- 가족생활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의 관점
- 체계적인 가족생활교육 내용의 구성
-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목표지향적인 경험을 제공
- 가장 본질적이고 영속적이며 교육의 위상을 갖도록 하는 것은 교과를 중심으로 교육이 이뤄지도록 하는 것
가족생활교육과 교사 교육
- 기초적 연구와 논의가 필요
-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가족생활교육 관련 프로그램의 도입 필요
- 교사들은 학생들이 영위하는 가족생활에 대한 올바른 이해 필요
- 교사들은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전문화된 지식 필요
학교 급별 가족생활교육 교육 과정
초등교육
- 매우 의미 있고 시기적절한 교육의 효과를 기대
- 가정생활의 중요성과 화목한 가족관계의 측면에서 이뤄지고 있음
- 실과 : 가정생활의 중요성 및 가족 구성원으로서 내가 할 일과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수행하기, 가정생활의 책임감과 역할, 수행 태도 기르기를 강조
- 도덕 : 주로 가족 간의 존중, 효도, 우애, 예정 등과 같은 덕목을 다루면서 이를 통한 인간관계의 기초를 길러 주는 것을 목표로 함
- 사회 : 사회 변화에 따르는 가정생활의 특징을 대전제로 사회의 구성과 유지에 기여하는 기본적 단위 및 요체로 기능하는 현대 가정의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주 관점으로 함
중등교육
- 기술·가정 교과에서의 가정영역은 중학교 가족생활교육의 핵심으로서 가족생활교육의 다양한 내용들이 구성
- 청소년의 이해, 청소년의 자기 관리, 가족의 이해, 진로와 생애 설계
- 가족생활교육에서 강조하는 인간 발달에 대한 이해와 가장 유사한 교육목적을 가정 교과에서 다룸
고등교육
- 기술·가정 : 저출산 고령사회와 가족(사랑과 결혼, 부모 됨과 자녀 돌봄, 자립적인 노후생활), 가족이 여는 행복한 가정생활 문화(양성평등과 세대 간 조화를 추구하는 건강한 가족문화의 형성과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구체적 가족생활의 실천 방안)
- 가정과학 : 결혼과 가족생활(가족 발달, 결혼 전 교육, 가족 돌봄, 복지), 소비자와 가계 재무설계, 웰빙과 식생활, 패션과 의생활, 주거와 환경 등
'건강가정사 > 가족생활교육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성역할 및 가족책임 의식 (1) | 2025.03.16 |
---|---|
사회교육 및 기관에서의 가족생활교육 (0) | 2025.03.11 |
가족생활교육에 대한 기본 가정과 쟁점 및 과제 (0) | 2025.03.01 |
가족생활교육의 목적과 내용 (1) | 2025.02.24 |
가족생활교육의 필요성과 대상 (0) | 2025.02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