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형이론의 이해와 정신건강
지형이론
- 프로이드는 마음을 지형적 개념을 통해 빙산으로 비유하여 설명
- 의식, 전의식, 무의식을 마치 땅의 지역을 나누는 것과 같이 나눠 설명, 마음을 일종의 지도로 개념화한 것
- 이것을 '꿈 해석'이라는 책을 통해 설명
의식(conscious)
- 말 그대로 우리가 의식하는 것
- 주의를 기울이는 바로 그 순간에 알아차릴 수 있는 정신생활의 일부분
- 오감을 통해 이뤄지며 현실의 원칙에 의해 움직임
- 충동적으로 하지 않고 이성적으로 하는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세계
- 우리 마음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 영역 중에서 가장 작은 부분에 해당
전의식(preconscious)
- 현재는 인식되지 않지만 전에 의식했던 것이 저장되는 곳
- 의식 바로 밑에 위치하여 조금만 주의를 집중하고 노력하면 의식될 수 있는 영역
- 작은 노력에도 떠오르는 기억과 지식이 담겨있는 곳
무의식(unconscious)
- 의식 밖에 있는 것으로 자신의 힘으로는 의식으로 떠올릴 수 없는 생각이나 감정이나 지각하지 못한 경험들과 기억들을 포함
- 깊은 곳에 있어서 쉽게 볼 수 없는 정신세계라고 할 수 있음
- 보통 사람은 무의식의 영역에 접근하기 어려움
- 전체 영역 중에서 가장 크게 자리하고 있음
- 작동 원리는 쾌락, 비록 손해가 되어도 쾌락이 우선인 논리가 실종된 곳
구조이론의 이해와 정신건강
구조이론
- 프로이드는 마음의 구조적 모형을 원초아, 자아, 초자아로 구분
- 성격구조론 혹은 성격구성론이라 함
원초아(Id)
- 이드라는 말은 '미지의 힘인 그것'이란 의미
- 그것은 인간의 행동을 조정하며 쾌락원칙과 본능적 욕구를 관장
- 본능적인 에너지 혹은 본능적인 힘, 쾌락을 추구하는 것이 특징
- 일생동안 그 기능과 분별력이 유아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고 외부세계와 단절되어 있어 법칙, 논리, 이성, 가치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하므로 시간이나 경험에 따라서도 변화하지 않음
- 본능적 충동을 만족시켜 주고 긴장을 감소시켜 줄 수 있는 대상에 정신에너지를 투입하는 것을 대상선택이라 함
자아(Ego)
- 원초아와 초자아 사이 성격의 조정자로 인간의 사고와 행동을 통제, 중간에서 합리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
- 현재 자신에게 가장 바람직한 쪽으로 협상을 이끌어냄
- 자아의 힘이 약할 때 불안증이 생기며 방어시스템인 방어기제를 통해 자신을 지키게 됨
초자아(Super ego)
- 도덕과 윤리, 양심적 작용으로 행동을 조절하며 나를 위해서 지켜보는 것
-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따지는 윤리 도덕의 기준 척도를 보유
- 양심 : 부모에 의해 도덕적으로 나쁘다고 가르침을 받아 온 것
- 자아 이상 : 되고 싶은 것
- 양심이라는 요소로 인해 죄책감을 갖고 자아 이상이 이뤄지지 못할 때 수치심을 가짐
- 나를 관찰하고 비판하고 벌하면서 나를 격려하고 의지를 일으켜 세워줌
- 초자아가 너무 강하면 지나치게 모범적으로 살면서 긴장하고 조금만 부족해도 자책, 반대로 약하면 이드의 공격을 받음
'사회복지사 2급 > 정신건강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인본주의 이론과 정신건강 (0) | 2025.03.14 |
---|---|
인지행동주의 이론과 정신건강 (0) | 2025.03.09 |
이상행동과 정신건강 (0) | 2025.02.27 |
스트레스 대처 방안 (0) | 2025.02.22 |
적응 및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(0) | 2025.02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