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사회복지사 2급/청소년복지론

청소년 인터넷 과다사용 문제 Ⅰ

청소년 인터넷 과다사용의 개념과 유형

개념

- 인터넷은 청소년에게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서 다양한 계층과 교류하도록 하며 새로운 문화의 창출이라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요소가 많으나 과다하게 사용하거나 지나치게 몰입하게 되면 부정적인 측면도 상당히 존재

- 인터넷 과다사용이란 물질이나 약물개입 없이 인터넷 사용을 통해 생리적 의존성, 내성, 금단증상, 일상생활의 부적응과 같은 다양한 문제행동을 나타내는 것

- 인터넷 발전은 정치, 경제, 사회, 문화 등 모든 생활 전반에 혁신적인 변화를 초래하고 있으며 단지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현 사회생활에서 여러 가지 장애와 불이득을 경험하는 청소년에게 인터넷 속성들은 더할 나위 없는 매력적인 요인이 됨

속성

- 개방성 : 언제든지 쉽고 편하게 접근

- 참여성 : 내가 원할 때 언제든지 능동적이고 자율적으로 참여

- 익명성 : 여러 가지 정보를 직접적으로 밝힐 필요가 없음

- 저항성 : 언제든지 의사소통을 차단하거나 저항할 수 있음

- 정체성의 변화 : 자신을 얼마든지 조작할 수 있음

유형

게임중독

- 고통스럽고 불만족스러운 현실에서 벗어나 환상의 세계로 탈출하도록 하고 캐릭터를 통해 힘과 지위를 얻고 대리만족감을 느끼고 인간에게 잠재되어 있는 파괴본능을 만족시킬 수 있음

- 폭력게임 중독은 모방을 통한 살인이나 폭력범죄와 같은 강력범죄의 한 원인이 됨

통신(채팅) 중독

- 익명성이 보장되기 때문에 드러낼 수 없었던 고민이나 욕망을 솔직히 주고받을 수 있음

- 수용된다는 느낌을 받기 쉽고 언제든지 내가 원할 때 새로운 사람들과 만날 수 있어 소외감을 줄일 수 있음

- 채팅용어로 인해 언어생활에 악영향을 미치거나 음란물을 접하거나 성급한 교제로인해 성적 문제 등의 어려움에 직면 

인터넷 섹스중독

- 인터넷 음란사이트를 즐겨보고 몰두하는 제한적 행위뿐만 아니라 온라인 접촉 시에 비정상적으로 나타나는 성적 몰입과 강박 현상 일체의 행위를 포함

- 청소년으로 하여금 성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하게 하고 이성을 성의 상품화나 도구적 존재로 인식하기 쉽고 강간 등 성적 공상에 몰입하고 성비행을 저지를 우려가 있음

청소년 인터넷 과다사용의 원인과 실태

원인

개인의 심리 내면적 특성

- 현실에서 충족되지 못하는 사회적 지지, 성적 만족, 새로운 인격창출, 숨은 성격의 발현, 인정과 영향력 등을 인터넷이 충족시켜 주기 때문임

인지-행동모형

- 먼 쪽에서 공헌하는 원인 : 인터넷을 접하는 경험, 인터넷을 사용하기 전 개인이 가지고 있는 정신병리, 인터넷을 통한 강화 경험

- 가까운 쪽에서 공헌하는 원인 : 자기 및 세상에 대한 부정적 생각, 자기 의심, 낮은 자기 효능감, 부정적 자기 평가와 관련된 인지적 왜곡 등

- 인터넷 과다사용의 원인을 청소년들이 접하는 다차원의 환경과 청소년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해야 한다는 견해

실태

- 성인과 비교하여 청소년들의 인터넷중독 성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임

- 청소년들 사이에서 인터넷의 비정상적인 이용자가 상당수에 달하지만 정작 중독으로 단정할만한 인구는 극소수에 불과

- 인터넷 중독성향은 대체로 여자보다는 남자, 중소도시보다는 대도시와 농촌지역, 중간층보다는 상·하류층에서 높음

- 게임이나 채팅의 목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청소년들이 높은 수준의 중독성향을 보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