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사회복지사 2급/가족상담및가족치료

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Ⅰ

발달배경

보웬

- 의대에 진학하여 정신의학을 전공하며 조현병에 관심 가짐

- 조현병 환자의 병리적 애착을 발견했고 모자공생이라 명명

- 연구의 단위를 넓혀 조현병 가족 내 삼각관계의 개념을 연구

모자공생

- 어머니와 성인 조현병 자녀가 서로에 대한 정서적 개입이 지나치게 심한 나머지 별개의 두 사람이 아닌 하나의 존재 또는 하나의 자아로 간주될 정도의 강한 정서애착을 갖고 있는 상태

보웬의 제자들

- 커 : 보웬의 가족체계이론을 가장 정통적으로 계승한 제자

- 계린과 포가티 : 뉴욕에 가족학습센터를 설립하여 가족치료자를 양성

- 맥골드릭과 카터 : 여성 제자인 이들은 보웬의 자기 분화나 융합 등이 가부장적이며 남성중심적이라고 비판, 보웬의 이론을 더욱 확장하고 균형 잡힌 이론으로 발전

주요 개념

자기 분화

분화의 개념

- 보웬 이론의 핵심개념

- 개인이 타인이 아닌 자신만의 방식에 따라 기능하는 것을 배우는 과정

- 미분화 가족 자아군 : 온 가족이 감정적으로 한 덩어리가 되어 정서적으로 함께 고착되어 있는 상태

자기 분화의 개념

- 어떤 수준의 상태를 의미하기보다는 원가족의 정서적 혼돈에서 자유로워지는 과정

- 개인의 기능 수준이나 인간적인 성숙도와 직결되는 개념

정서적 프로그래밍

- 지적체계 : 뇌의 바깥쪽 기능으로 충동, 즉 자동반응에 대한 의식적 통제 기능

- 정서체계 : 진화 초기에 발달한 중뇌에서 관장하며 주관적이며 본능적이고 자율신경계와 관련된 기능

- 감정체계 : 지적체계와 정서체계를 연결하는 기능으로 충동적이며 자동반응적인 감정이 대뇌피질에 입력된 정서적 기능 양상

분화 수준

- 기본분화 : 원가족의 분화 수준, 개인의 노력과는 무관하며 원가족과의 정서적 분리 수준에 의해 결정

- 기능분화 : 현재에 맺고 있는 관계과정에 의존하는 기능, 기본분화의 수준보다 높거나 낮게 기능

자기 분화척도

- 감정적, 지적 기능의 융합이나 분화의 정도에 따라 임의적으로 네 가지로 구분

- 0~25 : 척도의 가장 낮은 수준으로 삶이 온통 감정에 의해 지배

- 25~50 : 안정에 대한 기본적 욕구가 있으며 갈등을 회피

- 50~75 : 분명한 신념을 가지고 있음에도 타인의 선택에 의식하는 경향

- 75~100 : 명확한 가치와 신념, 목표지향적, 안정적, 자율적, 융통성, 인내심, 강한 자아감을 가짐

삼각관계

- 또 다른 핵심개념

- 가족 내 불안과 긴장을 해소하기 위해 만들어지는 삼인체계의 정서적 역동

- 삼각관계에 가장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불안

- 가장 작은 안정적 관계체계라고 언급

핵가족 정서체계

개념

- 부모가 원가족에게서 이룬 분화 수준에 따라 핵가족 내의 정서 분위기가 결정되고 이는 다시 가족원의 기능에 영향을 줌

- 다세대적 개념 : 개인이 원가족으로부터 학습된 방식으로 타인과 관계를 맺게 되며 결혼 선택을 통해 가족의 정서적인 장을 다세대에 걸쳐 반복함

부부의 분화 수준

- 높을수록 : 정서적 융합은 적으며 부부관계 내에서 신뢰와 성실, 상호존중 등의 요인에 의해 분화가 더욱 강화

- 낮을수록 : 상대에 대한 감정적 의존욕구가 크고 상대가 이를 만족시켜 주지 못할 때 불만과 두려움이 오히려 고조

증상

- 배우자의 역기능 : 우울증이나 두통 등의 만성적인 신체적, 정서적 역기능 초래

- 만성적 결혼갈등 : 부부간의 정서적 거리와 과잉애착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역기능 유형

- 자녀의 역기능 : 가족불안이 특정 자녀의 손상된 기능으로 흡수되어 발생하는 유형

가족투사과정

- 미성숙한 부모는 가족체계나 부부체계를 안정시키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자녀 중 가장 유아적이고 취약한 자녀를 투사대상으로 선택

- 가족의 융합이 클수록 투사과정에 많이 의존하게 되고 자녀의 정서적 손상도 커질 수 있음

정서적 단절

- 투사과정에 많이 개입된 자녀에게 주로 일어나는 현상

- 원가족을 접촉함으로써 생기는 불안을 줄이기 위해 부모의 집에서 먼 지역으로 이주하거나 부모와 말을 하지 않는 등 부모와의 접촉을 끊는 행위

- 세대 간 전수 가능성이 있음

다세대 전수과정

- 여러 가지 개인과 핵가족의 적응력 손상은 다세대 전수과정의 결과로 발생한다고 봄

- 한 가족 안에서 특정 임상증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은 단순히 유전적 요인 때문만이 아니라 취약성을 결정짓는 정서과정 때문이라고 봄

형제자매 위치

- 출생순위 또는 형제자매 위치가 가족의 정서체계 안에서 특정한 역할과 기능을 한다고 봄

- 배우자의 상호작용 역시 그들의 원가족에서의 형제 위치와 관련이 있다고 봄

- 미래의 행동을 형성하는 것은 실제 출생순위보다 가족 내의 기능적 위치에 의존한다고 보는 것이 더 적절

사회적 정서과정

- 개인과 가족에 대한 정서과정 개념을 사회적 정서과정으로 확장

- 사회도 가족과 마찬가지로 스트레스 상황에 처할수록 불안은 커지고 결속에 대한 압력이 강해지며 분화 수준은 감소

- 특정 사회집단이나 가족의 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좀 더 협동적이고 다른 사람의 복지를 고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