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사회복지사 2급/정신건강론

A·B군 성격장애와 정신건강

A군 성격장애

편집성 성격장애

주요 증상과 임상적 특징

- 사람들은 악의가 많고 기만적이라는 왜곡된 신념을 갖고 있음

- 타인에 대한 근거 없는 강한 불신과 의심을 보임

- 늘 자신을 방어하고 주변을 경계함

- 지나친 과민성을 나타냄

- 대부분 마음속에서 발생되어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하는 것으로 보임 그래서 발견이 어렵기도 함

치료방법

- 불신과 의심으로 상담자를 대하기 때문에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어려움

- 그들이 어떤 주장을 하는 것에 대해 반박하거나 분노를 표현하는 것은 의미가 없음

- 공감하고 솔직하게 대하며 개방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이 유리함

- 현실적으로 객관적인 시각을 갖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함

조현성(분열성)

주요 증상과 임상적 특징

- 타인에 대한 무관심이나 냉정한 태도를 갖는 것이 특징

- 이들은 사회생활에 무관심하고 혼자 생활하는 것을 편안하게 여김

- 혼자 일하는 직업을 갖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 큰 문제가 되지 않는 상황 

치료방법

- 대인관계에 소극적이기 때문에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어려움

- 안전하게 느낄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함

- 공감적이고 수용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 바람직함

- 부모에게서 충분한 수용을 받지 못하고 거부당한 경험을 지녔기에 기본적인 신뢰가 핵심적인 내용임

- 상담자와의 신뢰적 관계형성이 매우 중요함

조현형(분열형)

주요 증상과 임상적 특징

- 사회적으로 고립되고 기이한 생각과 행동을 하는 것이 특징

- 대부분 사고가 비정상적임, 이상하고 괴이하다는 것을 느끼게 함

- 사회적 불안을 과도하게 가짐, 심해질 경우 조현병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있음

- 조현성 성격장애보다 더 심각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

치료방법

- 어린 시절 부모로부터의 무관심과 무시가 있었던 것으로 애착과 관련이 있음

- 상담자와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 자체가 치료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음

- 유전적인 원인도 많은 것으로 봄

- 조현병적 맥락에서 바라보아야 함 : 분열성 < 분열형 < 분열증(조현병)

B군 성격장애

반사회성 성격장애

주요 증상과 임상적 특징

- 비이성적이고 비도덕적임, 폭력적이고 죄책감이 없다는 것이 특징

- 자신이 그렇게 행동하는 이유를 타인에게서 찾음

- 좌절에 대한 감정을 견디기 매우 힘들어함

치료방법

- 근본적 치료가 힘들기 때문에 치료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

- 파괴적 행동에 대한 한계설정이 중요함

- 건설적이고 대안적인 행동을 제시해 주는 것이 좋음

경계선 성격장애

주요 증상과 임상적 특징

- 양극단을 오고 가는 불안정성을 보임

- 애정과 분노가 함께 교차

- 상대방으로부터 버림받지 않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함

- 상대방에 대해 이상화와 평가절하를 교차적으로 반복하여 표출시킴

- 낭비, 성, 물질남용, 난폭운전, 폭식 등 자신에게 손상을 줄 수 있는 충동성이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영역에서 나타남

- 만성적 공허감에 시달리며 극심한 변화를 일으키는 정서적 불안정성을 나타냄

- 부적절하고 심한 분노를 느끼고 이것을 조절하는 것을 매우 힘들어함

치료방법

- 가장 중요한 것은 일관성임

- 사전에 합의된 치료적 원칙이 있다면 확고한 의지와 태도로 일관성 있게 나아가야 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