생태체계 이론의 정의와 특성
정의
- 생태체계 이론 = 생태학에 기초한 생태적 관점 + 체계이론
- 거시이론으로써 개인을 둘러싼 제반 환경에 초점
- 인간의 행동이 인간을 둘러싼 환경과의 상호작용 결과라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
- 개인에게 영향을 주는 환경이 다차원적 체계로 형성되어 있다고 봄
- 사회환경을 상위체계부터 하위체계까지 수준별로 구분, 체계들 간의 상호작용 방식에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도움
특성
사회복지실천에 미치는 영향
- 생태체계이론은 하나의 단일한 이론
- 환경 속의 인간이라는 사회복지실천 관점에도 많은 영향을 줌
- 클라이언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체계 요인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이해하기 위해 큰 도움을 제시해 줄 수 있음
학교사회복지사에게 미치는 영향
- 인간의 행동을 이해할 때 원인과 결과라는 단순한 견해에서 벗어나 인간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 수준을 폭넓게 고려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음
생태학적 관점
- 개인과 그들을 둘러싼 환경 간 상호작용 개념을 중시
- 유기체가 환경 안에서 이루는 적합성, 적응의 상태인데 이것은 일시적인 상태가 아니라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점진적 상태
- 인간은 복잡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환경에 적응한 결과로 바라볼 수 있음
체계적 관점
- 체계를 이해하는 다양한 개념을 통해 환경 안에 존재하는 체계들의 속성과 기능을 이해할 수 있는 틀을 제공
생태체계 이론의 주요 개념과 체계의 특성
주요 개념
- 체계 : 부분들 간에 관계를 맺고 있는 일련의 단위들, 서로 관계를 맺고 상호작용하는 요소들의 집합
- 체계는 인과관계 속에서 직접 또는 간접으로 관련된 구성요소들의 복합체이며 각 구성요소는 어떤 특정한 기간 내에 다른 구성요소들과 안정적으로 관련되어 있음
- 체계 내에서 한 부분의 행동은 다른 부분에 영향을 미침
- 사회체계 : 가족, 조직, 지역사회, 문화 등으로 구분
체계의 특성
체계의 구조적 특성
- 개방체계 : 다른 체계와 에너지, 정보, 자원을 상호 교류하는 체계로 체계 내 사람들이 다른 체계와 빈번하게 상호작용하는 체계
- 폐쇄체계 : 외부체계들과 상호교류가 없거나 교류할 수 없는 체계로 주로 체계 안에서만 상호작용을 하는 체계
- 경계 : 전체·부분체계, 상위·하위체계, 외부환경으로부터 대상체계를 구분해 주는 일종의 테두리로 체계의 독특성과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
- 공유영역 : 두 체계가 함께 공존하는 곳으로 체계 간 교류가 일어나는 곳, 서로 다른 두 체계가 공통의 이익이나 관심을 추구하기 위해 필요
체계의 진화적 특성
- 균형 : 폐쇄체계에서 주로 나타나며 외부와의 교류나 체계의 구조 변화가 거의 없는 고정된 평형상태
- 항상성 : 환경과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역동적 균형을 이루는 것으로 체계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
- 안정상태 : 개방체계에서 주로 나타나며 개방적이고 역동적임, 체계자체를 변화시키려는 노력을 통해 외부자극을 수용
- 호혜성 : 체계의 일부가 변화하면 그 변화가 모든 다른 부분들과 상호작용하며 나머지가 변화한다는 개념으로 순환적 인과관계를 이해하는 기본 개념, 다중종결과 동등종결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
- 엔트로피 : 체계 구성요소들 간 상호작용이 감소함에 따라 유용한 에너지가 줄어드는 상태, 폐쇄체계 특성
- 넥엔트로피 : 체계 외부로부터 에너지가 유입됨으로써 체계 내부의 유용하지 않은 에너지가 감소하는 상태, 개방체계 특성
체계의 행동적 특성
- 투입 : 환경으로부터 에너지와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
- 전환 : 투입을 산출로 변환시키기 위해 체계가 갖고 있는 구조적 배열
- 산출과정 : 투입된 자원을 전환과정을 통해 내놓은 결과물
- 피드백 : 체계의 작동을 점검하고 적응행동이 필요한지를 판단하여 수정할 수 있는 능력
- 적합성 : 인간의 적응 욕구와 환경자원이 부합되는 정도
- 적응 : 인간과 환경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고 반응하는 것
- 스트레스 : 개인이 지각한 요구와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 사이에서 일어난 불균형 상태
- 대처기술 : 스트레스 상황을 통제하기 위해 개인이 내적·외적자원을 동원하여 수행하는 행동
- 유능성 : 개인이 환경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는 능력
사회환경 수준과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연관성
사회환경 수준
미시체계
- 개인에게 가장 인접한 수준의 환경
- 가족과 같은 직접적 환경 내에서 이루어지는 활동, 역할, 대면적인 대인관계의 유형
- 건강한 미시체계는 상호 호혜성을 지니고 있어야 함
중간체계
- 상호작용 중에 있는 여러 개의 미시체계
-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두 가지 이상의 환경에서 일어나는 과정과 연결성(가정과 학교, 학교와 직장)
외체계
- 개인이 직접 참여하지는 않지만 개인의 발달에 영향을 주는 환경체계
- 부모의 직업환경이 자녀의 양육에 영향을 미침
거시체계
- 일반적인 문화, 정치, 사회, 법, 종교, 경제, 교육과 같은 사회적 맥락
- 개인의 삶에 직접적으로 개입하지는 않지만 간접적으로 강력한 영향을 행사
연관성
- 사회복지실천의 중요한 초점은 사람과 환경체계 간 상호작용
- 클라이언트가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어떤 문제가 어디에서 발생하는지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도움
- 문제가 클라이언트나 환경 어느 한쪽에서 발생한다고 보기보다 양자 간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봄
- 생태체계적 관점은 모델이나 이론보다 넓은 관점을 제시하고 문제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도와줌
- 특정 대상에 국한되지 않음
- 사정 도구로서 직접적인 유용성을 지님
- 문제를 총체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전체 체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도움
'사회복지사 2급 > 인간행동과사회환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사회적 차별·억압 관련 이론 (0) | 2025.02.04 |
---|---|
갈등이론, 상호작용이론, 교환이론 (0) | 2025.01.23 |
구조기능론 (1) | 2025.01.17 |
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(0) | 2025.01.11 |
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(4) | 2025.01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