갈등이론의 종류와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연관성
개념
- 모든 체계에는 갈등이 불가피함 : 사회의 변화와 개혁의 원동력이 될 수 있음을 강조
- 유한한 자원은 소유와 관련하여 갈등이 불가피함 : 갈등을 통해 사회가 지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고 봄
종류
계급적 갈등이론
- 마르크스에 의해 시작
- 개인보다 국가 단위에 초점을 두고 사회경제체계가 사회구조의 결정요인이라 전제함
- 자본주의 사회에서 계급갈등은 불가피하게 일어나는 일이라고 봄
기능적 갈등이론
- 갈등이 사회를 유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입장을 지님으로써 기능주의 이론을 부분적으로 수용
- 갈등의 긍정적 영향력에 주목
- 국가보다는 사회 하부 단위인 인간관계에 초점
변증법적 갈등이론
- 다렌도르프가 주장
- 구성원들 간의 상이한 사회적 지위로 인해 사회는 권력을 가진 자와 권력에 복종해야 하는 자로 나뉨
- 서로 권력을 갖기 위해 갈등이 발생한다고 봄
- 노사갈등을 노사의 권력관계와 이해관계에서 발생한다고 봄
연관성
- 사회문제 인식 : 자원에 접근이 어렵고 계급 간 이동이 자유롭지 않은 사회복지 클라이언트 계급의 문제를 거시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
- 문제 해결 방식 : 사회구조에 접근하여 사회구조를 변화시키려는 사회복지제도와 정책에 많은 영감을 제공
상호작용이론의 종류와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연관성
종류
상징적 상호작용이론
-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고 개인의 행동을 미시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이론
- 조지 미드에 의해 체계적으로 고안된 이론
- 상징 : 무언가를 나타내는 단위로 상징(언어, 제스처, 표정, 신체적 움직임 같은 모든 것)을 통해 상호작용을 함
- 사회 : 인간의 모든 행동은 상황이라는 맥락에서 일어나고 이러한 상황을 주관적으로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에서 상호작용이 일어나며 특정 상황의 개념이 행동을 결정하게 됨
- 사회화 : 자신이 속한 사회의 가치, 태도, 기술, 신념 따위를 내면화하는 과정으로 사회 내 다른 사람들과 유사해지는 것이며 타인과 상호작용으로 사회의 구성원이 되어 감
- 일반화된 타자 : 타인들이 자신에게 갖는 역할기대를 내면화하고 사회적 자아가 발달되는 과정을 거쳐 자신과 상호작용을 해야 하는 타인에게 반응의 적합성을 증가시키고 타인과 사회적 기준에 맞는 역할수행 능력을 갖게 됨
- 자아 : ME는 타인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아는 객체적 자아이고 I는 타인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내가 인식하는 주체적 자아임, ME가 없으면 타인과 상호작용하기 어렵고 I가 없으면 기계적으로 반응하는 상호작용이 발생함
낙인이론
- 일탈행동 자체보다 그 행동을 일탈적 행동 혹은 문제행동이라고 규정하는 과정에 초점을 두는 이론
- 특정 개인의 행동을 일탈이라 규정하고 낙인찍는 행위자가 특정 개인에게 부정적 자아상을 가짐
- 일탈에 따른 사회적 반응이 이차적 일탈을 야기하고 범죄에 대한 사회적 통제 메커니즘 자체가 범죄를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줌
연관성
- 사회문제 인식 : 다수나 지배집단이 어떤 상황을 문제로 정의하는지 그 과정에서 문제로 지목되는 자는 누구인지에 관심을 둘 수 있게 함
- 문제 해결 방식 : 개입의 대상은 사회가 아니라 개인의 현실구성임, 일탈을 야기하고 낙인을 창출하는 규칙이나 규범의 내용을 수정하고 선입견이나 편견을 제거하거나 약화시키는 노력을 해야 함
교환이론의 종류와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연관성
개념
- 개인 간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시작되어 지속되는지, 개인 간 상호작용이 사회집단과 조직 내 상호작용과 어떤 연관성을 갖는지 설명하려는 이론
- 사회체계가 상호작용한다는 체계이론에서 더 나아가 왜 그렇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한 의문으로부터 시작
- 고전경제학과 행동주의 심리학에 바탕을 두고 발달
종류
행동주의적 교환이론
- 호만스(Homans)의 행동주의적 교환이론은 상호작용이 사회적 교환에 기반한다고 봄
- 한 인간이 다른 사람에게 어떤 행동을 할 때는 상대방이 그에 상응하는 반응을 보일 것이라고 기대하면서 행동한다는 것
변증법적 교환이론
- 조직과 조직 간 교환관계 또는 개인과 조직의 교환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블라우(Blau)가 발전시킨 교환이론
- 개인 간 교환이 확대되어 조직의 형태가 된다고 봄
- 직접 대면을 하지 못하는 구성원들이 교환을 할 경우 규범을 통해 교환에 참여한다고 보면서 개인의 교화보다 사회적 규범, 가치, 조직에 관한 논의를 활성화시킴
교환네트워크 이론
- 에머슨(Emenson)이 기존의 교환이론을 발전시킴
- 행위자 자체의 특성보다 행위자 간 관계 형태, 행위자들의 연결망에 관심을 두는 이론
- 교환자원을 불평등하게 소유함으로써 불평등한 교환관계를 형성하고 그것이 권력의존관계를 낳는다는 것
연관성
- 사회문제 인식 : 사회문제를 자원영향의 문제로 바라보는 입장으로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해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
- 문제 해결 방식 : 자원의 질 향상을 꾀하는 사회복지실천 활동이 가능하게 함
'사회복지사 2급 > 인간행동과사회환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사회적 차별·억압 관련 이론 (0) | 2025.02.04 |
---|---|
생태체계적 관점 (0) | 2025.01.29 |
구조기능론 (0) | 2025.01.17 |
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(0) | 2025.01.11 |
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(4) | 2025.01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