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사회복지사 2급/의료사회복지론

의료사회복지의 건강신념모델

폭포

건강행동이론의 필요성

- 건강증진의 핵심은 개인의 건강한 생활양식 형성

- 건강한 생활양식 형성을 위해 바람직한 행동에 대한 동기유발, 실천 시작 및 유지를 돕는 과정 필요

- 건강행동이론은 바람직한 행동에 대한 동기유발, 실천 시작 및 유지전략의 방향을 제시해 주는 역할

건강행동 영향요인

설명이론(Explanatory Theory)

- 건강문제의 원인에 대한 이해를 돕는 이론

- 건강신념모형, 계획된 행동론 등

변화이론(Change Theory)

-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전략을 개발하고 메시지를 구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이론

- 지역사회 조직화, 혁신의 확산이론 등

개인 차원

- 개인의 특성

- 연령, 성, 건강상태, 가족 내에서의 역할

- 지식, 태도, 믿음, 자아개념, 건강관심, 자기 효능감, 주관적 규범, 기술 등

환경 차원

- 개인 간 상호작용

- 조직 또는 기관의 특성

- 지역사회 또는 국가차원의 영향요인 및 정책

건강신념모델의 개요 및 역사적 배경

- 건강행위를 실천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 중 태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, Becker(1974)가 처음 도입

- 1950년대 공공의료분야에서 사람들이 면역주사나 X-ray검사와 같은 의료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이유를 사회심리학자들이 연구

- 현재 건강검진 등의 보편화된 의료서비스 이용행위를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 중의 하나로 중요한 위치 차지

건강신념모델의 구성요소

인지된 감수성

- 개인의 특성이나 행동습관과 관련 지어 개인이 위험한 상태에 있음을 알린다

- 질병에 걸릴 위험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

인지된 심각성

- 치료받지 않을 경우 그 결과가 얼마나 심각할지에 대한 평가

- 질병에 감염되거나 질병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의 심각성, 즉 의학적, 임상적 평가

인지된 유익성

- 제안된 행동이 질병의 위험을 감소시키고 결과를 완화시킬지에 대한 평가

- 제안된 건강행동의 예상되는 가치에 대한 인식

인지된 장애요인

- 제안된 행동이 얼마나 어려울지, 얼마나 비용이 드는지에 대한 평가

- 제안된 건강행동의 부정적 측면에 대한 인식, 즉 필요한 비용, 수반되는 위험, 불쾌감, 통증, 시간낭비 등

행동 계기

- 개인의 행동을 촉발시키는 경험 또는 사건

- 동기를 증가시킬 사건이나 전략들

자기 효능감

- 실천에 옮길 수 있다는 자신감

- 특정 결과를 생산하기 위해 요구되는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확신

건강신념모델의 기본 전제

- 위험도, 심각성, 유익과 장애요인 인식의 네 가지 요인들이 합하여 대안적 행동을 실천에 옮길 가능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

- 높은 위험도, 높은 심각성, 높은 유익, 낮은 장애요인 인식은 바람직한 행동을 할 가능성을 높임

건강신념모델의 개입 전략

- 건강 교육 프로그램에서 활용 가능하다

- 건강신념모델은 사람들의 건강행위가 변화될 수 있는 환경요인을 예측한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