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사회복지사 2급/사회복지실천론

심리사회적 모델

나비

심리사회적 모델의 등장배경

Mary Richmond

업적

- 케이스워커 이론 및 실천의 확립과 발전은 리치먼드의 연구활동을 통해 이루어짐

연구활동

- 선의의 우호방문만으로는 충분한 원조를 제공할 수 없으며 개인의 속성이나 의지가 빈곤과 열악한 상황들을 설명하는 데도 한계가 있음을 인식

- 케이스워커들의 실질적 경험은 정확한 분석으로 이어져야 함을 주장, 수집된 정보에 기반을 둔 과학적 기초를 갖게 함으로써 진정한 전문직으로 출발할 수 있게 함

- 하나의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드러나는 증상과 같은 한 요인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전체의 일부로 이해하는 태도 촉구

- 수많은 사례로부터 얻은 광범위한 실증적 기반 위에서 치료전략들을 확인하고 평가

사회복지 영역에서 정신의학의 팽창

- 행동결정요인으로서의 무의식

- 감정과 태도에서의 양가성

- 현재 행동의 결정요인으로서의 과거 경험

- 치료 필수요소로서의 전이

- 모든 원조에서 처리되어야 할 요소로서 저항 등

- Hamilton : 진단주의를 이끌던 주요 인물로 케이스워커 이론과 실천에서 '심리사회적'이라는 용어를 사용

자아심리학의 영향

- 1950년대는 심리사회적 케이스워크에 있어 자아심리학 이론들이 다수 소개되고 적용되었던 시기

- 자아심리학은 자아를 자율성을 지닌 독립적 존재로 봄

- Perlman : 자아기능에 관한 관점을 자신의 저서인 '케이스워크-문제해결과정'에서 구체적으로 피력

- 인간의 자아기능과 관련한 잠재력의 인정은 이후에도 다양한 치료 형태의 발전으로 이어짐 : 단기치료, 과업중심치료, 위기개입, 인지치료 등

심리사회적 모델의 기본 가정 및 주요 개념

기본 가정

- 사회복지사들은 모든 개인이 연령에 상관없이 성장, 학습, 적응해 나가는 능력을 갖고 있음

- 사회복지사의 긍정적이고 감정 이입적인 배려는 클라이언트의 성격체계 내에서 변화를 초래할 수 있음 

주요 개념

심리사회적 접근을 시도하는 사회복지사들

- 심리적 체계들뿐만 아니라 개인의 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관련 체계들을 다루고자 함

- 생물학적, 사회적, 심리적 요인들이 모두 포함

- 끊임없이 클라이언트의 상황 속에서 상호작용을 함

심리사회적 실천의 기반 및 경향

- 심리사회적 실천은 적응과 변화에 대한 체계상의 이해를 기반으로 이루어짐

- 다양한 수준에서의 원조 제공을 강조, 복잡하고 복합적인 사안들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자 하는 경향을 보임

심리사회적 모델의 사회복지실천 적용

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관계

사회복지사의 태도

- 수용과 자기 스스로 방향을 정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의 권리에 대한 존중

-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함께 과정을 이끌어 나가는 협력적 관계 강조

비자발적 클라이언트와의 관계형성

- 저항이나 의심이 심할 수 있음

- 훈련과 경험을 통해 부정적 반응들을 현실적인 것과 비현실적인 것으로 구분

- 저항과 관련해서 클라이언트의 기저에 깔린 욕구와 감정들에 반응하는 것을 배워야 함

심리사회적 조사

- 의식 및 전의식 수준에 초점

- 개인의 전환기에 주목

심리사회적 사정

- 개인과 상황에 대한 이중적 초점

- 여러 체계들이 서로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가를 개념화

- 같은 사람이라도 시간과 장소에 따라 느끼고 행동하는 것이 다름 : 상황적 맥락의 중요성

- 내용 : 신상정보, 의뢰의 경위, 제시된 문제, 문제의 역사, 이전의 상담경험, 가족배경, 개인력, 의료적 사항, 문화적 배경, 종교, 정신상태와 현재 기능의 수준, 정신상태검사,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편람에 따른 진단, 요약, 치료 모델에 대한 추천 및 치료목표, 평가계획

심리사회적 개입

- 지지 : 불안을 감소시키면서 관심사를 충분히 공유하도록 격려하는 것으로 관심과 수용, 감정이입적 이해 등을 나타내는 의사소통

- 직접적 영향 : 다양한 수준의 제안이나 충고 등의 신중한 사용

- 탐구, 서술, 환기 : 클라이언트 상황에 대한 사실들을 이끌어 내면서 이들에 관한 감정들을 발산시키는 의사소통

- 개인-상황도구의 반성 : 클라이언트가 현 상황에 관련한 자신의 생각, 느낌들을 알 수 있도록 하며 생각과 느낌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을 도모하는 의사소통

- 유형 역동적 반성 : 특정 행동이나 사고유형으로 이끄는 클라이언트의 행동상 경향, 사고, 감정방식들을 확신하는 형태

- 발달과정상의 반성 : 클라이언트가 현재 성격과 기능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원가족과의 경험, 초기 유아기 시절의 경험 등으로 거슬러 올라가도록 돕는 형태

'사회복지사 2급 > 사회복지실천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문제해결 모델  (0) 2024.08.11
기능주의적 모델  (0) 2024.08.07
종결 및 평가과정  (0) 2024.07.30
계획수립 및 개입과정  (0) 2024.07.26
사정단계  (0) 2024.07.2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