건강의 개념
질병
- 신체기관이나 신체부위의 기능 및 구조에 특정 장애가 실체적으로 발생
- 표준화된 진단코드에 따라 의료전문가가 진단하는 상태
- 치료방법 존재
질환
- 자신이 느끼는 정신적, 신체적 증상을 기반으로 스스로 질병을 식별
- 경미한 증상, 일시적 문제, 급성 고통 등의 증상 포함
병
- 사회적으로 객관성을 인정받은 질병
변천사
- 17~18세기 : 육체와 정신 분리
- 19세기 : 육체와 정신 일체
- 20세기 : 사회적 역할 수행 포함 및 육체적 · 정신적 · 사회적 안녕 외에 영적 안녕까지 포함
의료사회복지의 개념
의료사회복지
- 초기 병원사회복지(Hospital Social Work) 용어로 의료적 요소 외 심리적 · 사회적 · 환경적인 면을 강조
- 의료사회복지서비스가 의료(medical) < 건강(health) 개념 강조
의료와 보건의료 비교
- 의료 : 질병관리, 진단과 치료, 좁은 의미의 의료
- 보건의료 : 건강관리, 예방 · 증진 · 재활, 넓은 의미의 의료
임상사회복지
- 19세기 초 공립병원에서 시작된 개념, 외래 정신건강현장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 지칭
- 미시적 차원 : 의료(Medical) 개념에 입각하여 질병의 원인과 치료(Curing)에 방해가 되는 개인 내면의 문제 요인 제거에 초점
- 거시적 차원 : 건강(Health) 차원의 접근으로 질병의 회복뿐 아니라 예방과 사후 관리를 포함한 일련의 과정, 제도와 정책적인 차원의 개념
의료사회복지 정의
- 임상사회사업뿐 아니라 의료 및 보건을 위한 복지서비스를 제공
- 질병예방을 위한 건강관리, 조기치료, 재활을 통한 사회복귀까지 포함
의료사회복지의 역사
미국의 의료사회복지 발달과정
- 1930년 : 1,000여 개 병원에서 사회사업가들이 활동
- 1931년 : 정신분석의 발달로 정신의료사회사업이 활발
- 1984년 : 포괄수가제(Diagnosis Related Group)의 실시로 퇴원계획에의 개입이 중요해짐
우리나라의 의료사회복지 발달과정
- 태동기 : 해방 이후 ~ 1958년 이전의 활동
- 도입기 : 1958년 이후 ~ 1972년, 구호와 자선으로서의 도입
- 제도화기 : 1973년 ~ 1988년, 의료법에 의해 법적 인정, 보험수가 청구, 병원표준화심사제 실시
- 활성화기 : 1989년 ~ 1999년, 전 국민 의료보험 실시, 의료사회복지사 활동의 법적 제도적 기준 확대
- 다양화 · 전문화 : 2000년 ~ 현재, 활동 진료과 확대, 의료사회복지자격에 대한 법제화 마련
'사회복지사 2급 > 의료사회복지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의료사회복지 정책 및 제도 Ⅱ (0) | 2024.03.21 |
---|---|
의료사회복지 정책 및 제도 Ⅰ (0) | 2024.03.18 |
팀 접근과 질 관리 활동 (0) | 2024.03.15 |
의료사회복지 실천현장과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 (1) | 2024.03.13 |
의료사회복지사의 자격 (0) | 2024.03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