평가조사 기법
프로그램 산출목표 평가
- 산출목표 : 프로그램의 결과로써 사회복지사가 제공한 서비스를 대변할 수 있는 변수들에 대한 수치나 자료를 의미
- 평가 대상 : 작업량, 실적, 프로그램에 참여한 클라이언트 연인원과 실인원 등
프로그램 성과목표 평가
개념
- 성과목표 평가 : 프로그램이 목표했던 바를 성취하는 정도에 대한 평가
- 면접, 관찰, 설문조사 등을 이용
-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성, 프로그램의 지속성, 클라이언트와 운영자 간의 의사소통 등 조사
종류
- 절대적 성과목표 : 프로그램의 성과목표를 사전에 정해두고 달성 여부를 평가의 기준으로 하는 것
- 상대적 성과목표 : 평가기준을 상대적인 개념으로 제시하는 것
프로그램 효율성 평가
개념
- 효과성 평가 : 프로그램의 목표달성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평가
- 효율성 평가 : 목표달성을 위해 얼마만큼의 자원을 사용했는가에 대한 평가
- 프로그램 효율성 평가 : 프로그램의 실행으로 인한 편익이 비용을 정당화할 수 있는지, 더 적은 비용으로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등에 관련된 평가
종류
- 비용-편익분석(Cost-Benefit Analysis) : 프로그램에 투입되는 비용과 성과 모두를 화폐적 단위로 표현하여 비용-편익의 산술적 비율을 구하는 분석방법
- 비용-효과분석(Cost-Effectiveness Analysis) : 비용 측면만을 화폐적 단위로 분석하고 성과에 대해서는 화폐적 단위를 적용하지 않음, 비용-성과분석(Cost-Outcome Analysis)이라고도 불림
평가조사의 적용
저소득층 방임아동의 보호·학습지원을 위한 야간보호사업
사업 목적 및 목표
목적 | 산출목표 | 성과목표 |
1. 저소득층 야간 방임아동의 안전증대 및 정상적인 성장 지원 | 1-1. 저소득층 야간 방임아동 20명 안전보호 | 보호 아동의 야간 안전 사고율 감소 |
1-2. 20명 아동에 대한 무료 석식 및 간식 제공, 건강 체조프로그램 시행 | 평균 신체발달지수 향상 | |
1-3. 주 5회 숙제지도 및 주 2회 기초학습지도 | 기초학습능력 향상 | |
2. 저소득층 야간 방임아동 가정의 가족 관계강화를 통한 가족유대감 증대 | 2-1. 월 1회 보호자와 함께하는 프로그램 시행 | 보호아동의 가족 유대감 증대 |
2-2. 월 1회 보호자와 자녀 상담을 통한 심리적 유대감 형성 |
목표에 대한 평가방법
성과목표 | 보호 아동의 야간 안전 사고율 감소 | |
목표에 대한 평가방법 |
성과지표 | 야간 안전 사고 발생건수, 비율 |
자료원 | 복지관 자체조사 | |
자료수집방법 | 아동상태 관찰, 보호자 수시 연락, 안전사고일지 | |
자료수집시기 | 분기별 |
성과목표 | 평균 신체발달지수 향상 | |
목표에 대한 평가방법 |
성과지표 | 동일연령 아동의 소아발율표준치 기준에서의 향상율 |
자료원 | 복지관 자체조사 | |
자료수집방법 | 실제 신체지수 측정, 학교와 건강발달사항 정보협조, 질병관리 본부 자료 참조 | |
자료수집시기 | 상·하반기 |
성과목표 | 기초학습능력 향상 | |
목표에 대한 평가방법 |
성과지표 | 학교 숙제 완성한 빈도의 증가량, 프로그램 개입 후 학교 성적이 좋아진 아동의 수와 비율 |
자료원 | 학교담임교사 알림장, 성적점수 | |
자료수집방법 | 알림장 매일 점검, 학교담임교사와 연락, 성적점수 점검 | |
자료수집시기 | 학기 초, 학기 말 |
성과목표 | 보호아동의 가족 유대감 증대 | |
목표에 대한 평가방법 |
성과지표 | 가족들의 놀이 모임 수 증가량, 보호자와 자녀 관계척도점수의 유의미한 차이 정도, 가족과의 1주 평균 대화 횟수의 변화 |
자료원 | 프로그램 참여자 | |
자료수집방법 | 참여자가 제출한 과제물 | |
자료수집시기 | 과제제출시기 |
지적장애인 지원고용 프로그램
지적장애인의 직무수행 수준 변화
- 참가자 8명 모두 직무기술이 향상됨
- 직무기술 : 직무 관련 기초기술, 자기 관리기술, 의사소통기술, 대인관계기술, 기능적 학업기술, 운동기술, 대중교통이용기술
동료근로자의 장애인식 변화
- 장애태도 측정 설문지를 사용하여 동료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장애인식의 조사
- 직무훈련 시작 전과 종료 시에 장애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대응표본 t-검증을 실행
- 검사 결과 : 사전 평균 3.44, 사후평균 3.49
-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
지적장애인 본인 만족도
- 설문과 직접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
- 만족도 결과 : 그렇다 34, 보통이다 7, 아니다 1
- 지원고용 프로그램에 대한 훈련생의 만족도는 높은 편
지적장애인 부모 만족도
- 10개 문항의 4점 척도 조사지와 부가적인 질적자료 수집을 위해 면접을 실시
- 만족도 결과 : 전혀 그렇지 않다 2, 그렇지 않다 6, 그렇다 46, 아주 그렇다 26
- 직무훈련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가 상당히 긍정적임
'사회복지사 2급 > 사회복지조사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질적조사의 개념과 특징 (0) | 2025.01.03 |
---|---|
평가조사에 대한 이해 (2) | 2024.12.22 |
욕구조사 (3) | 2024.12.16 |
욕구이론 (0) | 2024.12.10 |
단일사례설계의 측정과 적용 (4) | 2024.12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