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사회복지사 2급/가족복지론

가족복지에 대한 이해 Ⅱ

튤립축제

가족복지의 발달

영국

구빈법

- 1601년 영국에서 제정된 엘리자베스 구빈법

- 빈민을 포함한 모든 사람들에게 가족부양의 의무를 명시

- 가족복지 정책보다는 단순한 빈곤대책으로 평가, 빈곤층 통제요소가 강함

자선조직운동 및 인보관 운동

- 가족복지에 있어 가족문제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으로 평가

- 자선조직운동 : 무분별하게 반복 또는 중복되어 온 구빈사업과 자선활동을 통합하고 조직화, 가정방문을 통한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자선활동 시도

- 인보관 운동 :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시작된 운동, 빈민들과 함께 거주하며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해 노력, 가족의 문제를 사회적·구조적 환경에서 이해하고자 함

빈곤가족에 대한 연구

- 19세기 중반부터 사회실태조사가 진행,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결과 도출

- 빈곤이 사회적, 국가적, 구조적 문제라는 인식을 확산시킴

베버리지 보고서

- 1942년 발표, 구빈법에서 벗어나 국가의 책임과 의무를 강조함으로써 복지국가로 나아가는 기본적인 시각과 틀을 제공

- 사회복지를 가족과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다는 인식이 보편화

가족수당

- 세계 2차 대전 후 북유럽에 도입, 영국은 1945년 경 도입

- 사회의 핵심단위인 가족을 보호하고 지원하는 데 목적을 둔 보편주의적 제도

미국

자선조직운동 및 인보관 운동

- 1870년대 후반부터 뉴욕 주에서 시작

- 우애방문원 활동 : 빈민층 가정을 방문, 생활실태를 조사하고 자료를 체계적으로 분류

- 자선조직활동은 민간 지역사회조직이 중심이 되어 실천

 사회보장법

- 1920년대 말부터 시작된 대공황으로 각종 사회문제가 도출, 국가가 가족의 복지를 위해 공적으로 개입해야 할 필요성 제기

- 1935년 공적부조제도, 사회보험제도, 사회복지서비스의 3가지 영역 구성

- 빈곤에 대해 국가가 일정 부분 책임이 있음을 인정하고 연방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사회복지에 관여

빈곤가족에 대한 연구

- 대공황은 미국경제 전반의 신용구조를 파괴

- 빈곤의 원인을 개인적 성격의 결함이라고 본 자유주의 철학의 붕괴

- 빈곤의 재발견과 대 빈곤 전쟁의 시대 : 1961~1975년

- 한 가족이 경제적으로 생존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도의 수입을 기준으로 빈곤선을 개념화

한국

- 전통적인 농경사회 : 가족보호에 대한 책임을 국가보다는 확대가족에게 지움

- 일제강점기 시작 : 식민지통치에 대한 정당화, 우리 국민의 통제 목적으로 여러 기관이 운영

- 1921년 태화여자관 설치 : 가족을 위한 복지사업이 시작, 탁아소 및 놀이터 설치 운영

- 한국전쟁 이후 : 다양한 외국원조기관의 구호사업 시작

- 1960년대부터 태화사회관의 가족상담사업은 가족복지에서 큰 의미

- 1980년대 이후 사회복지관들이 전국적으로 설치, 가족문제 해소를 위해 가족복지 프로그램이 운영되기 시작

가족복지의 접근방법

정책적(거시적) 접근

종류

- 직접적 가족정책 : 가족복지를 위해 마련된 정책, 가족생활의 특정 영역을 보호하거나 향상할 목적

- 포괄적 가족정책 : 정부나 행정기관이 행하는 활동이 간접적으로 가족의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

고려점

- 가족정책의 단위

- 보편주의와 선정주의의 균형

- 가족정책의 자원

- 가족정책의 전문성

- 가족정책의 시행 시점

- 정책의 주관 기관

- 가족정책의 비용과 효과

장애요소

- 직접적 가족정책의 비용 문제

- 사회를 구성하는 다양한 가족관을 포괄하여 합의점에 이르러야 하는 어려움

- 정부의 역할에 대한 다양한 견해 차이를 극복

- 가족의 기능을 저해할 수 있다는 가능성 고려

- 가족정책의 효과성을 객관적으로 증명

서비스적(미시적) 접근

- 가족 돌봄 나눔 : 모두가족봉사단, 모두가족품앗이, 아버지-자녀가 함께하는 토요 돌봄 프로그램

- 가족교육 : 생애 주기별 부모교육, 남성대상 교육

- 가족상담 : 전문적 상담자가 개입하는 사후접근

- 가족문화 :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는 가족문화를 도모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제시

- 다양한 가족통합서비스 : 저소득 취약가족을 중심으로 맞춤형 사례관리 사업

- 지역사회 연계 :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는 지역사회협의체와 유관기관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하도록 권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사업을 추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