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사회복지사 2급/사회복지실천기술론

전문적인 원조 관계

전문적 원조 관계의 중요성

- 원조 관계 형성은 전체적인 실천과정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과제

- 전문적인 원조 관계의 형성은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의사소통으로 시작

- 사회복지사가 갖고 있는 클라이언트의 삶에 대한 진지한 관심, 돕고자 하는 의도, 처한 상황에 대한 이해 등이 정확히 전달될 때 원만한 전문적 원조 관계 형성

- 성공적인 전문관계는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 모두의 자아 성장을 도모

전문적 원조 관계 형성기술의 역할과 요소

공감적 의사소통

개념

-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와 공유하는 감정과 지각을 클라이언트에게 적절히 전달하는 것

감수성 훈련

- 1단계 : 우리가 생활하면서 겪는 일상적 정서를 이해하는 연습을 하는 것

- 2단계 : 클라이언트가 사회복지사에게 보내는 메시지 속에 숨어 있는 감정을 예리하게 파악한 후 적절히 반응하는 연습을 하는 것

의사소통 훈련

- 감정이입적 의사소통의 수준 분류

긍정적 존중과 수용

- 클라이언트가 가지고 있는 모든 것을 긍정적인 시각으로 존중하고 인정하는 것

-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전문직의 가치에 기반하여 비협조적인 클라이언트와 위협적인 클라이언트 구별하기

온화함

-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에게 보이는 다정하고 편안한 태도

- 온화함이 없을 경우 효과적인 원조 관계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

진솔성

-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에게 진실하고 솔직하게 대할 때 클라이언트는 사회복지사를 신뢰하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원조 관계를 형성할 수 있음

- 상대방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중립적으로 표현 : 사회복지사가 자신의 의견, 생각, 반응 등을 객관적인 입장에서 표현하는 것

- 자신의 상황에 대한 주관적 진술 : 사회복지사 자신의 경험, 과거나 현재 상황, 심정 등을 성공적인 문제해결 사례에 초점을 맞춰 서술하기

- '나 전달법' 사용하기

강점 및 좋은 면의 발견

- 클라이언트의 긍정적인 속성, 감정, 가능성 등의 일부분이라도 사회복지사가 발견해 확인시켜 줄 경우, 문제해결의 촉진제로 작용할 수 있음

- 강점이나 긍정적인 면의 발견은 사실에 근거한 구체적인 것이어야 함

'사회복지사 2급 > 사회복지실천기술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사회복지실천기술 개관  (1) 2025.02.0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