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건강가정사/건강가정론

건강가정의 이해

건강가정

등장배경

- 2004년 건강가정기본법 제정 : 가족의 구조와 형태, 기능과 가치 등의 변화가 빠르게 이뤄지고 있었음

- 가족전환기적 특성 : 저출산, 고령화, 맞벌이 가정의 증가, 가족형태의 다양화 등

- 가족과 사회의 역동적 변화 속에서 가정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현상과 이슈가 제기되었고 이것이 연구주제 또는 정책 아젠다로 형성되면서 건강한 가족에 대한 관심이 증가

한국가족의 전환기적 특성

- 돌봄의 공백

- 가족형태의 다양화

- 가족생활 관련 가치의 변화

한국가족의 트렌드

가족구조

- 저출산

- 가족형태의 다양화

- 다문화가족의 확산

- 고령화

- 탈가족화 

가족관계

- 평등화 : 남성과 여성의 역할분담에 있어 평등성이 강화

- 개인화 : 가족 각자의 사생활이나 개인적인 삶의 가치관을 중시

- 도구화 : 가족을 자원으로 활용하는 도구주의적 성향을 나타내는 의미

- 규범과 실제의 이원화 : 가치와 인식이 실제 태도나 행동과 일치하지 않고 이분법적으로 구분되는 형상

- 물신화 : 물질주의적인 가치관이 확산되어 가정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는 측면을 나타내는 경향

한국가족의 현 실태

가족에 대한 가치와 인식

- 주관적 가족의 범위 : 부모 > 자녀 > 배우자 > 형제자매 > 배우자의 부모 순으로 응답

- 가족의 정의 : 혈연과 혼인에 기반하여 주어지는 관계, 정서를 공유하는 관계, 경제적·물리적 생활을 함께하는 관계 순으로 인식

삶의 방식과 가족가치관

- 이혼, 재혼, 독신, 무자녀, 비혼동거 등 가족의 형태적 다양성에 대한 수용성이 높음

- 가족의 운영 질서, 규범의 변화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수용성이 낮음

- 비혼 상태에서 자녀를 출산하는 것에 대한 수용성은 매우 낮음

다양한 가족의례 및 문화

- 결혼식은 당사자 중심으로, 장례식은 가족 중심으로 치르는 것에 동의

- 가부장적 가족호칭의 개선, 제사를 지내지 않는 것, 부부가 각자의 가족과 명절을 보내는 것 순으로 동의

성역할

- 전형적인 성역할 태도에 대한 동의 수준은 매우 낮음

- 남녀의 동등한 가족 내 역할을 강조

부모 부양 및 부모 책임

- 부모에 대한 경제적 부양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강조되고 있으며 부모 부양에 대한 책임은 아들과 딸에게 동등하게 있다는 인식이 높아짐

- 자녀에 대한 부모의 책임에 대한 범위는 축소되는 방향으로 변화

'건강가정사 > 건강가정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건강가정의 개념 및 특성  (0) 2025.02.1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