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사회복지사 2급/가족상담및가족치료

대상관계 가족치료 Ⅱ

치료목표 및 치료과정

치료목표

- 통합된 자아를 만들어 가는 일

치료과정

- 발달단계에서 부모와의 관계를 통해 이루지 못한 분리와 독립을 이루도록 도움

- 분리와 독립이 되지 않은 부분이 무엇이며 또한 그 과정에서 어떠한 정서적 경험이 있었는지를 탐색하고 인식

- 관계에서 발생하는 분열을 통해 투사를 인식하고 통합을 위한 노력

- 나쁜 대상으로만 생각했던 타인에게 좋음의 측면도 있음을 인식하고 발견하려는 노력을 하고 자신 안에도 나쁨이 있을 수 있음을 인식하고 발견하고 확인해 나가는 작업이 분열을 통합하는 과정

- 타인을 이해하고 받아들인다는 말은 상대의 좋은 점만이 아니라 나쁜 점들 또한 받아들인다는 의미임일 자각

- 상담자는 가족이 통합적으로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고 인식하면서 발달을 이루어나가도록 도움

치료자 역할 및 치료 기법

치료자 역할

- 발달에서 실패한 부분을 분석하여 재중재하는 역할

- 발달을 이루지 못한 주된 원인 중 하나가 돌봄의 질이라고 볼 때 상담자가 치료과정에서 질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

- 가족구성원이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전혀 새로운 관계 세계로의 가능성을 열어주고 경험하게 함

- 가족에게 새로운 정보와 해석을 제공

- 가족 간에 상호역동이 일어날 때 중립의 역할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

- 가족 구성원들이 다른 사람이 아닌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인식하도록 함

- 가족 구성원이 관계 안에서 드러난 자신의 내면을 탐색하는 과정을 경청, 내용들을 해석해 주면서 함께 참여

- 상담자의 이러한 참여는 가족 구성원에게 새로운 대상의 경험을 동시에 하게 함

- 가족 구성원들과의 상담관계에 있어 제한선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

치료 기법

안전한 환경 제공

- 상담자는 가족 구성원에게 새로운 경험, 즉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도록 하여야 함

- 가족 구성원으로 하여금 자기 자신이 될 수 있도록 돕고 걱정을 덜어 줌으로써 상담과 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만들어 줌

-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요소 : 수용적인 말, 다른 가족 구성원이 평가하지 못하도록 함, 칭찬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움, 말을 하고 싶으면 하고 하고 싶지 않으면 안 해도 된다고 말해줌으로써 마음을 편히 갖도록 함

공감과 지탱

- 코헷은 엄마의 초기 공감적 표현은 주로 피부 접촉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말함

- 공감 : 공감적 표정, 공감적 언어, 공감적 행동, 그리고 내면 감정과 생각의 이해 모두를 포함

- 공감은 지탱하기를 가능하게 하고 지탱하기를 통해 상대방의 슬픔을 함께 견뎌 주고 버텨 줌

해석

- 필수적 기법 중 하나로 관계를 변형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관련 맺는 일과 돌봄의 활동

- 상담자의 해석은 가족 구성원이 현재 자신의 감정과 행동을 과거 부모와의 관계와 관련지어 해석하여 이해하도록 돕는 역할

- 저항해석 : 한 개인이 나타내는 저항이 다른 가족원의 숨겨진 저항을 나타낼 수 있음을 파악하는 것

- 전이해석 : 어린 시절 부모가 약속을 잘 지키지 않은 경험이 있는 내담자가 상담자의 지각으로 인해 자신이 어릴 때처럼 무시당했다고 느낀 것, 이것을 직접 표현하지 못하고 상담 효과가 없는 것 같다고 불만을 표현하거나 상담에 저항적 태도를 보이는 것

- 역전이해석 : 상담자가 내담자의 자기 표상이나 대상표상과 동일시할 때 일어나는 것

- 지금-여기 관계 경험해석 : 과거의 경험이 상담자와 내담자와의 지금-여기 관계에서 일어나는 경험과 관련성이 있는지 다룸

- 과거의 경험을 새롭게 통찰하기 : 내담자는 자신을 힘들게 했던 과거의 대상관계 방식을 무의식적으로 현재의 사람들이나 상담자와 재연하려고 하며 이때 상담자는 과거의 중요한 사람과는 다른 태도로 반응하는 것이 중요

적용과 토론

- 해석 이후 다시 이전 관계 상태로 되돌아가려는 경향이 있어 새로운 관계 형성에 있어 적용과 토론이 반드시 필요

- 상담자는 투사의 해석을 다시 상기시키는 작업이 필요

- 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적용과 상담자와의 피드백을 통해 상호작용이 필요

- 적용과 상담자와의 토론의 과정을 반복하여 나가면서 새로운 내면화 과정이 일어나고 새로운 관계의 형성이 이루어지게 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