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사회복지사 2급/사회복지조사론

과학에 대한 이해

새

과학의 개념과 목적

개념

- 과학은 사물의 현상에 관한 보편적 원리 및 법칙을 알아내고 해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지식 체계

- 과학의 영역에 해당하는 가를 결정하는 기준은 연구 대상을 다루는 연구방법에 의해 결정

- 과학은 우리를 둘러싼 현상에 대해 보다 잘 알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으로써 현상에 대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형성하는데 기본적 목적을 둠

목적

- 기술(Description) : 현상을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것, 현상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기초

- 설명(Explanation) : 연구 대상에는 다수의 변수가 관련되며 과학은 변수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밝힘

- 예측(Prediction) : 연구 대상인 현상을 포괄하여 설명할 수 있는 일반 법칙을 개발하고 개별적인 사건들에 관한 지식을 결합하여 미래의 현상에 대해 예측

- 통제(Control) : 기술과 설명으로 예측이 가능해지면 어떤 현상의 결정 요인을 제거 또는 보강함으로써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한 현상으로 유도하는 통제가 가능

과학적 지식의 방법

귀납법

과정

- 주제선정 : 인간의 죽음

- 관찰 : 소크라테스의 죽음을 관찰

- 유형 발견 : 다른 많은 사람들의 죽음을 관찰

- 결론 : 그러므로 모든 사람은 죽는다는 결론

정의

- 개개의 사실이나 명제에서 일반적 결론을 이끌어내는 추론법

- 개별적인 사실들로부터 일반적인 원리나 이론으로 전개해 나가는 논리적 과정

- 경험의 세계에서 관찰된 사실들이 공통적인 유형으로 전개되는 것을 객관적인 수준에서 증명하는 것

연역법

과정

- 주제선정 : 인간의 죽음

- 가설 : 모든 사람은 죽는다는 가설을 세움

- 관찰 및 경험 : 소크라테스는 죽는다는 관찰과 경험

- 검증 : 모든 사람은 죽는다는 가설을 확인

정의

- 보편 명제에서 특수 명제를 이끌어내는 추론법

- 일반적 법칙으로부터 개별적 사실을 추론해 내는 접근 방법

- 연구주제를 가설의 형태로 만들어 실증적으로 검증해 나감

상호관계

- 귀납법과 연역법은 상호보완적이며 서로 순환적인 과정

- 사회과학에서 지식을 탐구하기 위한 논리로 두 가지 모두의 중요성이 인정

- 귀납법은 기존의 이론이 전혀 존재하지 않을 때 사용

- 연역법은 일반적으로 기존의 이론을 발전시켜 나갈 때 사용

과학 철학

칼 포퍼(Karl Popper)의 반증주의

- 과학의 발전은 기존 이론과 상충되는 현상을 관찰하는데서 출발, 기존 이론의 모순에 계속적인 반증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봄

- 어떤 이론이라도 최종적으로 확고하게 검증될 수는 없으므로 하나의 이론은 반증될 때까지 채택되는 과정을 반복

- 반증 : 어떠한 법칙이나 이론이 참이 아닌 것을 증명하는 특수명제를 찾아서 확인하는 과정(연역법적 과정)

- 반증이 불가능한 이론은 과학의 영역이 아니라고 할 수 있음

토마스 쿤(Thomas Kuhn)의 과학혁명론(패러다임론)

패러다임

- 어떤 현상을 바라보는 관점에 작용하는 기본적인 틀이나 구조

- 특정 시기에 사회 또는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신념, 가치, 지식 등의 총체를 지칭

- 패러다임의 우열을 비교할 수 있는 객관적 기준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며 새로운 패러다임이 과거의 패러다임보다 더 좋다고 말할 수도 없음 

패러다임의 이동(전환) 과정

- 전과학 → 정상과학 → 위기/혁명 → 새로운 정상과학 → 새로운 위기/혁명

- 전과학 : 패러다임이 형성되기 이전 상황, 다양한 연구와 시도가 경쟁하는 시기

- 정상과학 : 특정 시기에 하나의 패러다임이 타당성을 인정받고 이를 기반으로 연구가 진행되며 지식체계가 확립

- 과학혁명(위기/혁명, 새로운 정상과학) : 정상과학이 위기에 처하고 기존 패러다임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교체되며 새로운 정상과학이 탄생하는 과정(패러다임의 이동), 과학의 발전은 혁명적인 변화 과정을 통해 성취된다고 봄

- 새로운 위기/혁명 : 과학적 진보에서 불연속성을 강조하며 과학혁명은 반복적으로 발생

'사회복지사 2급 > 사회복지조사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사회복지조사의 절차  (0) 2024.10.05
사회복지조사의 형태  (0) 2024.09.29
측정과 척도  (1) 2024.09.23
가설과 변수  (1) 2024.09.17
사회과학과 사회복지조사  (2) 2024.09.1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