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사회복지사 2급/정신건강론

정신건강의 개념과 조건

정신건강의 개념

과정적 개념

정신건강의 용어와 다양한 개념

- 오늘날 매우 중요한 용어로 대두되고 있음

- 정신건강의 개념을 다양한 입장에서 정의 내리고 있음

- 정신 : 신체와 상대되는 개념, 영혼 혹은 마음이라는 용어, 생각하는 기능과 감정이라고 하는 정서적인 작용을 하는 영역, 인간의 삶에서 나타나는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

- 건강 :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아무 탈이 없고 튼튼한 상태

- 정신건강이란 정신적으로 튼튼하여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잘 견뎌내며 탈이 없이 지탱하는 상태

- 세계보건기구의 정의 : 일상생활에서 언제나 독립적 자주적으로 처리해 나갈 수 있고 질병에 대해 저항력이 있으며 원만한 가정생활과 사회생활을 할 수 있는 상태이자 정신적 성숙상태

- 미국정신위생위원회의 정의 : 정신적 질병에 걸려 있지 않은 상태만이 아니고 만족스러운 인간관계와 그것을 유지해 나갈 수 있는 능력, 더 나아가 모든 종류의 개인적, 사회적 적응을 포함하고 어떠한 환경에도 대처해 나갈 수 있는 건전성과 균형성 그리고 통일된 성격의 발달

- 오늘날 정신건강은 내면의 정신적 문제에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사회활동 속에서 자아를 성취하기 위한 포괄적 의미에 초점을 둔 총체적 의미 

- 정신건강의 개념은 정신병리학적 입장에서 시작 : 정신질환이란 개념 속에서 정신건강을 바라본 것

정신건강 개념의 재조정

- 정신병원의 기준 → 일상생활 터전

- 정신건강의 개념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그 대상이 달라짐

- 정신건강에 대한 개념을 보다 광의적으로 해석하고 그 대상의 폭을 넓히는 것이 요구됨

- 정신건강은 과정적·진행적 개념 : 변화적 개념, 치유과정적 개념, 성장적 개념

- 정신건강은 자신을 끊임없이 치유해 나가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을 변화시켜 나가면서 성숙을 이루는 과정, 일상생활을 언제나 독립적이며 자주적으로 처리해 나갈 수 있고 스트레스에 대한 통제력을 갖추고 있으며 원만한 개인 생활과 사회생활을 할 수 있는 상태 

포괄적 개념

- 인간에게 적용되는 개념

- 신체와 정신을 모두 건강하게 해야 온전한 정신건강을 이룰 수 있음

- 신체와 정신이 균형을 이루어 외부환경에 적합한 사회기능을 한다는 의미

정신건강의 조건

음식

- 정신적으로 건강한 것은 먹는 것과 깊이 관련되어 있음

- 음식을 대하는 것은 정서적 활동

- 정서적으로 어려움을 느낄 때 우리는 식욕을 잃게 됨

신체 단련 - 운동

- 사람은 몸과 마음으로 이뤄져 있고 이것은 구별되지만 분리되지 않음

- 정신은 신체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음

- 정신이 힘들 때 그 힘든 것을 몸에게 이양 : 신체화 증상

여가(안식)

- 여가는 쉼이란 의미, 정신건강을 갖는 데 필수적임

- 안식은 에너지를 충전시키는 매우 중요한 부분

과거의 미해결과제 치료

- 미해결과제란 일반적으로 성장의 발달단계에서 이루어야 할 과업들을 이루지 못한 것을 의미

- 과업을 이루지 못할 때에는 우리의 삶에 지속적인 영향을 줌

- 정신건강을 이루기 위해서는 과거의 미해결과제를 해결하는 치유적 접근이 필요